본문 바로가기

법률 지식/개인 회생

개인회생시 전부명령...

      

[판례] 개인회생채권자의 전부명령 신청에 대한 처리기준


1. 채권자목록에 기재된 개인회생채권에 기하여 개인회생재단에 속하는 채권에 내려진 압류 및 전부명령이 즉시항고 제기로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채무자에게 개인회생절차가 개시된 경우,

 

항고법원이 취하여야 할 조치 및 재항고심 계속 중 채무자가 ‘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’ 제593조 제1항에서 정한 중지명령을 받은 경우, 재항고법원이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 청구채권이 채권자목록에 기재된 개인회생채권에 해당하는지 등을 심리하게 하기 위해 원심재판을 파기환송할 수 있다.(대법원2011.4.20.자 2011마3결정/채권압류및전부명령)


2. 채권자목록에 있는 회생채권의 효력

채권자목록에 기재된 개인회생채권에 기하여 개인회생재단에 속하는 재산에 대하여 이미 계속중인 강제집행, 가압류 또는 가처분절차는 개인회생절차가 개시되면 일시적으로 중지되었다가, 변제계획이 인가되면 변제계획 또는 변제계획인가결정에서 다르게 정하지 아니하는 한 그 효력을 잃는다.

 

따라서 채권자목록에 기재된 개인회생채권에 기하여 개인회생재단에 속하는 채권에 대하여 내려진 압류 및 전부명령이 이에 대한 즉시항고가 제기되어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채무자에 대하여 개인회생절차가 개시되었다면,

 

항고법원은 다른 이유로 압류 및 전부명령을 취소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항고에 관한 재판을 정지하였다가 변제계획이 인가된 경우 압류 및 전부명령이 효력이 발생하지 않게 되었거나 그 효력이 상실되었음을 이유로 압류 및 전부명령을 취소하고 압류 및 전부명령신청을 기각하여야 한다(대법원 2008. 1. 31.자 2007마1679 결정 참조).

 


3. 강제집행의 정지 또는 제한

채무자는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 확정 전까지 강제집행의 일시정지를 명한 취지를 적은 재판의 정본을 제출할 경우 강제집행은 필수적으로 정지 또는 제한하여야 한다(민사집행법제49조 제2호, 대법원 1999. 8. 27.자 99마117, 118 결정 참조).

 

재항고심 계속 중 채무자가 「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」제593조 제1항 소정의 중지명령을 받은 경우, 재항고법원으로서는 채권압류 및 전부명령의 청구채권이 개인회생절차의 채권자목록에 기재된 개인회생채권에 해당하는지 여부 등을 심리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재판을 파기환송할 수 있다.

 


4. 참조조문

[1]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89조 제1항 제1호, 제593조 제1항, 제600조 제1항, 제615조 제3항, 민사집행법 제229조 제7항, 제8항 / [2]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589조 제1항 제1호, 제593조 제1항, 제600조 제1항, 제615조 제3항, 민사집행법 제229조 제7항, 제8항

 


5. 참조판례

[1] 대법원 1999. 8. 27.자 99마117, 118 결정(공1999하, 2160), 대법원 2008. 1. 31.자 2007마1679 결정(공2008상, 280), 대법원 2009. 9. 24.자 2009마1300 결정(공2009하, 1961)

 

'법률 지식 > 개인 회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개인회생 기각 사유는  (0) 2013.05.22
중지명령신청서  (0) 2013.04.20
개인회생 기간?  (0) 2013.02.16
개인회생 절차  (0) 2013.02.16
개인회생하면 얼마뒤에 갚나요?  (0) 2013.02.16